[예술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작품 세계

    01.
    율리오 2세의 영묘와 
    '모세' 1505~1545

    1505년에 미켈란젤로는 새로 임명된 교황 율리오 2세의 초대로 로마로 들어오게 되었다. 그는 교황의 묘를 짓는 일을 위촉받았는데, 두 사람은 함께 거대한 예술 작품을 상상하는 동시에 세계의 여덟 번째 경이를 만들 꿈을 꾸었다. 3층 높이에 실물대 조각상 40점, 벽감, 엔태블러처, 괴이한 장식물, 청동 부조 등이 포함된 거대한 건축물 구상했다.

    르네상스 시기의 가장 웅장하고 고상한 장례 기념물 중 하나인 이 건축물은 방대한 작업이었기 때문에 미켈란젤로에게는 평생의 부담으로 남았다. 그의 전기 작가이자 제자인 아스카니오 콘디비에 따르면, 미켈란젤로는 "나는 이 영묘에 묶여서 청춘을 다 보내고 말았다."라고 불평했다고 한다.

     

    교황의 후원을 받았으나, 미켈란젤로는 이 작업 외에도 수많은 작업을 맡아서 진행했기에 무덤을 완공하는 데 무려 40년이나 걸리게 되었다. 본래 성 베드로 대성당에 세워질 계획이었으나, 나중에는 율리오 2세를 기념하는 교회가 되었다. 

     

    베드로가 투옥되었을 때 묶였던 쇠사슬이 보관된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에 세워졌다. 완성된 모습은 처음 구상과 달리 2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장대하기는 여전히 마찬가지였다.

    작품을 살펴보면, 바닥에는 카피톨리노 언덕의 고대 폐허에서 가져온 60센티미터 높이의 '오래된 대리석' 조각 열세 개를 깔아 대좌로 삼았고, 그 위에 조각상을 놓아서 돋보이게 했다. 

     

    2층의 네 기둥은 위로 갈수록 좁아져 관람자 시선을 저절로 하늘로 향하게 유도한다. 기둥 위의 기다란 촛대 네 개와 인간 형태의 문장은 건축물 전체가 하늘로 녹아드는 듯한 느낌을 조성한다. 위에 뚫린 직사각형 창문 네 개와 오픈 아치에서는 교회 안쪽의 합창대 목소리가 울려 나와 마치 천사들이 영혼을 영접하는 것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지상에서 천상으로 자연스레 영혼이 여행할 수 있도록 봉사하는 건축물을 만들어낸 것이다.

     

    모세

    아래층 중앙에 놓인 1545년에 완성한 '모세'상이 가장 유명하다. “덩치가 엄청나게 큰 당당한 인물이라는 느낌이 실제와 상상 양쪽 측면 모두에서 작용한다. 그는 마치 하느님에게 말을 걸려는 것처럼 측면을 응시하고 있다.

     

    그는 이미 신성을 보고 온 사람이므로 그의 얼굴은 인간 이상의 얼굴이며, 따라서 평범한 인간들로서는 감히 쳐다볼 수 없는 얼굴이다. 상대방을 꿰뚫어 보는 듯한 눈빛, 물결치는 얼굴 근육, 폭풍우 같은 머리카락, 짧은 두 뿔(모세가 시나이산에서 하산할 때 그의 머리에서 뿜어져 나온 후광을 상징한다) 등이 '모세'가 내뿜는 강렬한 표현력에 기여하고 있다.

     

    기다란 오른손 손가락들은 묵직한 턱수염의 끝부분을 잡아당기고 있다. 잠재의식 속 생각이 무의식적인 불안한 동작을 활성화한 것이다. 소매 없는, 느슨한 상의는 대리석 조각의 한 걸작으로, 모세의 근육 구조를 감추는가 하면 드러내고 있다. 한편 무릎 위로 흘러넘칠 정도로 과도해 보이는 옷자락이 예언자의 독특하면서도 느슨한 각반과 신발을 오히려 잘 드러낸다.”

    그 좌우의 두 여인상 '라헬'과 '레아'는 미켈란젤로가 온전히 완성한 최후의 조각상이다. 하늘에 호소하는 듯한 자세를 취한 라헬과 거울을 들여다보는 자세로 땅을 지향하는 레아는 서로 짝을 이루면서 각각 신앙과 선행, 명상적 생활과 활동적 생활을 상징한다. 

     

    본래 이 자리에 있어야 하는 남자 포로들과 달리, 여성이 모세의 좌우에 자리 잡음으로써 영묘 전체는 이스라엘 민족의 해방을 위한 모세의 투쟁(신체성)이 아니라 기도와 명상이라는 영적 언어(정신성)를 표현하게 되었다. 

     

    이는 이 영묘를 처음 구상했을 때인 서른 살의 미켈란젤로와 이 영묘를 완성했을 때인 일흔 살의 미켈란젤로의 차이를 보여 준다는 평이 있다.

    2층 한가운데 누운 인물이 이 영묘의 주인인 교황 율리오 2세이고, 서 있는 모자상은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이다. 묘를 위해 만든 조각상 중 6점은 최종적으로 배제하게 되었다. 그중 '반항하는 노예'와 '죽어가는 노예'로 알려진 조각상 2점은 루브르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나머지 4점은 피렌체의 아카데미아 갤러리에 있다.

     


    02.
    시스티나 경당의
    천장 벽화
    1508 ~ 1512

     

    시스티나 경당의 천장 벽화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경당의 천장을 4년에 걸쳐 작업하였다(1508~1512). 1508년 교황 율리오 2세는 미켈란젤로에게 시스티나 경당의 천장을 그림으로 장식할 것을 명한다. 콘디비의 설명에 따르면, 브라만테가 성 베드로 대성당을 작업 중이었다고 한다. 그는 미켈란젤로가 교황의 묘 공사에 위촉되었다는 사실에 분개하다가 교황을 설득해 미켈란젤로가 실패하도록 그에게 생소한 과제를 주었다고 한다.

    미켈란젤로는 원래 천장을 지탱하는 삼각 궁륭에 열두 제자를 그리고, 천장 중앙에 장식으로 처리하라는 위촉받았다. 미켈란젤로는 율리오 2세를 설득해 재량권을 얻고, 천지창조, 인류의 타락, 예언자를 통한 구원의 약속, 그리스도의 계보 등 다양하고 더 정교한 작품을 제시했다. 이 작업은 가톨릭 교리 대부분을 표현하는 그림들이다.

    이 작품은 500제곱미터의 천장 전체를 아우르며, 300명 이상의 인물을 포함하고 있다. 천장 한가운데에는 창세기에 나오는 아홉 가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고,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하느님의 천지 창조, 하느님의 인간 창조와 하느님 은혜 밖으로 타락한 인간, 마지막으로 노아와 그의 가족이 보여 주는 인간의 상태이다. 

    천장을 지탱하는 삼각 궁륭에는 예수의 탄생을 예언하는 인간 열두 명이 그려져 있다. 이들은 이스라엘 예언자 일곱 사람과 고전 세계에 나오는 무녀 다섯이다. 천장 벽화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은 아담의 창조, 에덴동산의 아담과 이브, 노아의 홍수, 예언자 예레미아, 그리고 쿠마에 무녀이다.

    미켈란젤로는 4년 동안 발판 위에 누워서 작업해야 했고, 이에 따라 관절염과 근육 경련 등 신체적 고통을 얻었다. 천장에서 떨어지는 물감 안료로 인해 눈병도 생겼으나 1512년 마침내 작품을 완성했다.

    댓글